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필기전형을 통해서 채용인원의 3배수를 선발한다. 지원직무에 따라 필기전형의 구성은 아래와 같았다.
특징
1 NCS 직업기초능력평가의 경우, 직군별로 구성이 달랐다. 총 80문항 90분의 틀은 유지하며 기존 50문항이 출제되던 직업기초능력의 문항수가 10문항 줄어들었고, 직무수행능력의 문항수가 30문항에서 40문항으로 늘어났다.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정보능력을 공통으로 하고 행정직이나 심사직에 지원한 지원자의 경우 조직이해능력을 포함한 문제로 실시하였다. 반면 연구직은 수리능력과 자원관리 능력을 포함하였고, 전산직은 수리능력을 포함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2 주로 2~3개의 자료를 주고, 그와 관련된 문제를 2~3문제 가량 출제하여 속독능력이 필수인 문제들로 구성이 되었다. 통계관련기사를 보면서 필요한 능력이라거나, 주어진 사례와 같은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한 사례를 찾으라는 문제도 출제되어 정확한 이해와 이것을 응용하거나 적용하는 능력이 요구되었다.
3 직무수행능력검사도 직군별로 다르게 구성되었다. 심사직의 경우 직무관련 전공을 따로 묻는 것이 아니라 보건의료 관련 이슈, 건강보험제도, 심평원 업무 및 역할 등을 알고 있는가를 평가하는 보건의료지식으로만 구성된 40문제를 실시하였다. 행정직과 연구직의 경우, 보건의료지식 10문제와 직무관련 전공지식을 평가하는 30문제로 구성된 40문제를 실시하였다. 직무관련 전공지식은 행정직의 경우, 법학, 행정학, 경영학, 경제학 등 통합전공지식, 연구직의 경우, 보건의료분야 정책현안 지식, 통계 분석·해석 등으로 구성되었다.
* 본 eBOOK에 해당하는 강의는 "직무적성검사 eBOOK 해설 특강" 메뉴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본 eBOOK의 경우 문제은행의 문항 분량에 따라 모의테스트 문제와 동일할 수 있습니다.
* 가장 최신의 정보를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나 수험서의 특성상 그 유형의 변경이 있을 수 있습니다.